-
최근 상속세 개정안을 바탕으로, 10억 원을 상속받을 때 배우자와 아들에게 각각 얼마의 상속세가 부과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일상생활 2025. 3. 12. 22:00
🚨 상속세 계산 기본 구조
상속세는 크게 다음 단계를 거쳐 계산됩니다.
- 총상속재산가액 산정: 상속받은 재산 전체 금액
- 공제 항목 적용: 배우자 공제, 일괄 공제, 인적 공제 등
- 과세표준 산정: 총상속재산가액 - 공제 금액 = 과세표준
- 세율 적용: 과세표준에 따라 10%~50%의 세율 적용
- 세액공제 및 납부: 일정 조건에 따라 공제받고 최종 세액 결정
📌 상속세율 (2024년 기준)
- 1억 원 이하: 10%
- 1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: 20%
- 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: 30%
- 10억 원 초과 ~ 30억 원 이하: 40%
- 30억 원 초과: 50%
🏠 10억 상속 사례 분석
💡 가정 조건:
- 상속 재산: 10억 원
- 상속인: 배우자 1명 + 아들 1명 (2인 상속)
- 적용 공제:
- 배우자 공제: 최대 30억 원 (실제 상속받은 금액 한도)
- 일괄 공제: 5억 원 또는 인적 공제 적용 후 금액 중 큰 금액
- 기타 공제: 자녀 인적 공제 1인당 5천만 원
📝 계산 과정:
- 총상속재산: 10억 원
- 공제 항목 적용:
- 배우자 몫 5억 원 → 배우자 공제 5억 원
- 아들 몫 5억 원 → 인적 공제 5천만 원
- 일괄 공제(5억 원) 또는 인적 공제 적용 후 금액 중 큰 금액 적용 → 여기서는 일괄 공제 5억 원 적용
- 과세표준:
- 배우자: 5억 원 - 5억 원 = 0원 (상속세 없음)
- 아들: 5억 원 - 5억 원 - 5천만 원 = 0원 (상속세 없음)
🎉 결론:
- 배우자 상속세: 0원
- 아들 상속세: 0원
📣 상속 재산이 더 클 때는?
만약 상속 재산이 15억 원이라면, 배우자가 7억 5천만 원, 아들이 7억 5천만 원을 받았다고 가정할 때, 공제 후 과세표준이 발생하므로 상속세가 부과됩니다.
상속세는 상속 구조에 따라 큰 차이가 나므로,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세무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. 혹시 다른 시나리오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 주세요! 🚀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메이저리그(MLB)와 KBO 리그의 개막 일정과 개막전 정보 (0) 2025.03.13 [2025 상속세 개정] 유산취득세, 쉽게 정리해볼게요! (0) 2025.03.12 광명진언 뜻 및 기도법 (0) 2025.03.12 "나는 SOLO" 25기 출연진 총정리! 직업, 나이, 학력까지 한눈에 (0) 2025.03.10 배우자 상속세, 꼭 내야 하나요? 불합리한 현실과 폐지 논란 (0) 2025.03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