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2025 상속세 개정] 유산취득세, 쉽게 정리해볼게요!일상생활 2025. 3. 12. 23:03
🚦 1. 유산세 → 유산취득세로 바뀌는 핵심 포인트
- 기존 방식(유산세): 전체 상속재산에 대해 세금을 계산한 후, 상속인들이 나눠 내는 구조.
- 바뀌는 방식(유산취득세): 각 상속인이 실제로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 각각 세금을 내는 구조.
- 예: 부모 재산 10억 원을 배우자와 자녀가 각각 5억 원씩 상속받으면, 각자의 5억 원에 대해 따로 세금을 계산함.
- 시행 시기: 2028년부터 (세금 시스템 정비 필요)
💡 2. 공제 방식, 어떻게 바뀌나?
- 일괄 공제 폐지: 지금은 전체 재산에서 5억 원 공제가 적용되지만, 앞으로는 사라짐.
- 자녀 공제 강화: 기존 5,000만 원 → 5억 원으로 상향.
- 배우자 공제 완화:
- 상속액이 10억 원 이하면 법정 상속 비율에 상관없이 전액 공제.
- 배우자가 10억 원까지 상속받아도 세금 없음.
- 결론: 자녀에게는 5억 원까지 비과세, 배우자는 10억 원까지 비과세 혜택 제공!
📊 3. 예시로 알아보는 세금 변화
- 상황: 50억 원 상속, 배우자 20억 원 + 자녀 2명 각 15억 원 상속
- 현행 유산세:
- 공제액: 25억 원 (배우자·일괄 공제 포함)
- 과세표준: 25억 원 → 높은 세율 적용
- 상속세: 8억 4000만 원
- 유산취득세:
- 공제액: 30억 원 (자녀 공제 확대)
- 자녀별 과세표준: 각자 10억 원 → 낮은 세율 적용
- 상속세: 4억 8000만 원
✅ 결과: 세제 개편 덕분에 3억 6000만 원 절세!
특히 자녀 수가 많을수록 세금이 줄어드는 구조.
⚠️ 4. 남은 과제와 논란
- 야당 반발: 일부에서는 "부자 감세"라며 반대.
- 기업 요구 미반영: 최고 세율 인하나 대주주 주식 할증 폐지 등은 포함되지 않음.
- 국가 재정: 상속세 수입 감소 예상 (연간 약 2조 원 줄어듦).
📌 5. 결론: 나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?
- 자녀가 많거나 상속 재산이 클수록 유리함.
- 배우자는 10억 원까지 비과세라, 배우자 중심 상속 시 세 부담 크게 줄어듦.
- 다만, 야당 반대나 추가 논의가 필요해 최종 시행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.
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편하게 질문해 주세요! 🚀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‘디지털 신분증 시대 개막! 모바일 주민등록증, 이제 전국에서 발급받으세요’ (0) 2025.03.13 2025년 메이저리그(MLB)와 KBO 리그의 개막 일정과 개막전 정보 (0) 2025.03.13 최근 상속세 개정안을 바탕으로, 10억 원을 상속받을 때 배우자와 아들에게 각각 얼마의 상속세가 부과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 (0) 2025.03.12 광명진언 뜻 및 기도법 (0) 2025.03.12 "나는 SOLO" 25기 출연진 총정리! 직업, 나이, 학력까지 한눈에 (0) 2025.03.10